Select Page

서론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서론              한번은 다음과 같은 화잇 부인의 예언적 말씀을 읽고 깊은 의아심을 갖게 되었다. “내게 주어진 지난 번 계시에서 나는 진리를 믿는다고 공언하는 자들 가운데 극소수만이 진리로 거룩하게 되어 구원을 받게 될 것이라는 깜짝 놀랄 만한 사실을 보게 되었다” 1T 608. 어떻게 남은 교회인 제칠일 안식일 예수...

1. 셋째 천사 기별,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그리고 인치는 기별의 관계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1.   셋째 천사 기별,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그리고 인치는 기별의 관계   예언의 신은 인치는 기별은 셋째 천사의 기별이며, 그것은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기별이라고 말하고 있다.   1. 셋째 천사 기별과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그리고 인치는 기별의 관계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셋째 천사 기별     “여러 사람들이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기별이 셋째 천사의 기별인지...

2. 늦은 비 성령을 받는 조건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2.   늦은 비 성령을 받는 조건       재림 교회 내에 두 가지 전설이 있는데, 첫 번째는 예수께서 재림하실 때에 성도들은 “홀연히 변화”된다는 성경 말씀에 대한 오해이고, 두 번째는 늦은 비가 내려야만 성도들은 죄를 완전히 이기고 극복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재림 교회 내에서 가장 큰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이 두 가지 문제에 대하여 예언의 신은 무엇이라고 말하고...

3. 완전한 승리의 가르침이 중요한 이유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3.   완전한 승리의 가르침이 중요한 이유   1 왜 완전에 대한 가르침이 중요한가? 1. 완전은 늦은 비 성령을 받는 조건, 인침을 받는 조건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분이 우리로 하여금 죄를 짓지 않게 하실 수 있다는 사실을 믿는 충분한 믿음을 갖지 못한 자들은 그분께서 우리를 하나님의 나라로 들어가게 해 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갖지 못한 것이다.” RH 3/10, 1904“알고...

4. 왜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는가?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4. 왜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는가?   1 .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가르침이 재림 교회 안에서 치열한 논쟁점이 되는 이유?     만일 그대가 예수께서 죄에 대하여 승리하셨던 것처럼, 우리도 성령의 능력을 통하여 승리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대와 나는 예수님의 인성 문제에 대하여 논쟁할 필요가 없다.     만일 그대가 늦은 비 성령을 받는...

5. 칭의와 참된 개심에 관한 이슈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5. 칭의와 참된 개심에 관한 이슈   논쟁점: 예수 그리스도의 의는 우리가 알고서 품고 있는 단 하나의 죄도 가리워주거나 덮어주지 않는가? 복음의 비밀:     골로새서 1:26~27 “이 비밀은 만세와 만대로부터 옴으로 감취었던 것인데 이제는 그의 성도들에게 나타났고 하나님이 그들로 하여금 이 비밀의 영광이 이방인 가운데 어떻게 풍성한 것을 알게 하려 하심이라 이 비밀은 너희 안에 계신...

6. 구원의 조건에 관한 질문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6. 구원의 조건에 관한 질문       “모든 나라와 족속과 방언과 백성들에게 전파해야 할 복음은 영생을 얻기 위한 조건이 순종이라는 명확한 진리를 제시하고 있다.” 본교성경주석 7권, 972     “운명을 결정하는 것은 곧 품성(열매)이다.” 실물교훈 67     “완전한 순종이 아닌 것은 어떤 것도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표준에 도달할 수...

7. 구원에 있어서 인간이 할 몫이 있나요?

완전과 그리스도의 인성 연구   저자: 편집실   7. 구원에 있어서 인간이 할 몫이 있나요?       “죄를 경한 것으로 여기고 죄인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랑 안에 거하도록 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좋다는 식의 종교는 죄인으로 하여금 그가 계속 죄 가운데 있어도 하나님께서 그를 구원하실 것이라고 믿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것이 현대 진리를 믿노라고 공언하는 많은 사람들의 사고 방식이다… 세상과 세상의 관습과 세상의 행위와 세상의 유행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