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Page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후기

 

재림교회가 심각한 신학적 문제들을 대면해야 했던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교회의 교리들 중 어느 것도, 진지하고, 조심스러운 연구와, 어떤 때는 긴 기간 동안의 회의와 탐구와 기도 없이 제정된 것은 없다. 서로 다른 확신들을 비교 연구함으로 선구자들은 이따금 여러 기독교적 전통으로부터 물려받은 잘못된 신학적 개념들을 버릴 수 있었으며, 성서가 나타내는 성경적 진리들을 분명히 세울 수 있었다.

 

이러한 과업을 이루기 위하여 적용된 원칙은 개혁자들이 사용하였던 것과 같은 것이었다: sola scriptra. “성경, 오직 성경이 우리의 신조가 되어야 한다… 인간은 틀릴 수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틀릴 수 없다…‘성경 우리의 믿음과 기강의 법칙이다’(1)라고 새겨진 깃발을 높이 들자. 이것이 바로 재림교회의 기본적 신조가 세워진 기반이었다-다른 것이 아니다.

 

1888년 미네아폴리스에서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문제가 논의되어졌을 때에, 엘렌 화잇은 이것만이 교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직 한 방법임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우리들의 성경을 가지고, 겸손한 기도와 배우고자 하는 마음으로 세상의 크신 선생께 나아가자… 우리는 진리의 증거들을 찾기 위하여 성경을 연구하자… 하나님의 말씀을 읽는 그대로 존경하는 자들은, 그들의 능력의 최선을 다하여 그의 의지를 따르는 자들은 그 교리가 하나님으로부터 왔는지 알 것이다… 다른 모든 방법들은 하나님의 방식이 아니며, 혼란을 만들어 낼 것이다.” (2)

 

교회가 진리를 찾고자 할 때 이 방식을 언제나 엄격히 따랐던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회는 유감스럽게도 오늘날 그리스도론에 관한 혼란적인 상태로 인하여 고통받고 있다. 이와 같은 혼란이 이제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교리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결과이다. (3) 지금이야말로 상황의 심각함을 깨달을 때이며, 집중적으로 여러 신학적, 역사적 면의 그리스도론에 관한 깊은 연구를 위한 공개토론을 생각해볼 때이다.

 

이 연구는, 불행하게도 이미 악화되어 가는 갈등을 확대시키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목표는 단지 교회 선구자들 1950년대 시작부터 만장일치 하에 가르쳤던 가르침들과, 또한 최근 십 여 년 동안 여러 학자들에 의한 나타난 여러 종류의 해석들에 관하여 알게 하는 것에 있다. 객관적으로 이 문제는 이와 관련된 모든 역사적 사건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엘렌 화잇의 충고는-그녀의 글들은 이 갈등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만약 우리가 연합을 원한다면, 조심스럽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모든 이들은 성경으로 그들의 입장을 증명하고, 그들의 주장하는 모든 요소들을 구현된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실체화시켜야 한다.” (4)

 

내가 재림교회 그리스도론의 역사에 관한 이 책을 쓰기 시작한 이후-이 책은 첫 150년의 교회 역사(1844-1994)에 관한 것만을 계획하였다-우리를 분리시키는 이 논쟁의 해결을 돕기 위하여 여러 책들이 출판되어졌다.(5) 각각의 책들은 나름대로 이 대화에 큰 공헌을 끼쳤으나, 그러나 이 책들이 서로 상반되는 견해를 표출하고 있기 때문에, 도리어 이 혼란을 지속하게도 만들었다.

 

다음과 같은 케넷 우드의 언급을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교회가 하나님의 마지막 경고의 기별을 능력으로 세상에 전파할 수 있기 전에, 그리스도의 인성에 관한 진리에 대한 연합이 있어야 한다.” (6) 다음의 말씀은 아무리 반복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하나님의 아들의 인성은 우리에게 모든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영혼을 그리스도께, 또한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께 묶는 황금사슬이다. 이것이 우리의 연구의 주제가 되어야 한다.” (7)

 

(참고문헌)

 

1EIlen G. White, Selected Messages, book 1, p. 416.

2Ellen G. White manuscript 15, 1888. Quoted in A. V. Olson, Through Crisis to Victory, 1801-1901, pp. 293-302. (Italics supplied.)

3Martin Weber, Who’s Got the Truth? (Silver Spring, Md.: Home Study International, 1994).

4Ellen G. White, Evangelism (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46), p. 256.

5A. Leroy Moore, Adventism in Conflict: Resolving the Issues That Divide Us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95), see especially pp. 145-157; Woodrow W. Whidden II, Ellen White on Salvation: A Chronological Study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95), see especially pp. 57-65; Jack Sequeira, Saviour of the World: The Humanity of Christ in the Light of the Everlasting Gospel (Boise, Idaho: Pacific Press Pub. Assn., 1996); Woodrow W. Whidden II, Ellen White on the Humanity of Christ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97).

6Kenneth H. Wood, in our preface. 7E. G. White, Selected Messages, book 1, p.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