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Page

왜 구원 얻기가 쉬우며 잃어버리게 되니가 어려운가?(아니면 그 반대도 또한 같은가?

왜 구원 얻기가 쉬우며 잃어버리게 되니가 어려운가?(아니면 그 반대도 또한 같은가? 저자: 롸벌트 제이 윌랜드        만일 예수님께서 어떤 것을 말씀하셨다면 사실 그것에 대하여 아무 질문도 있지 않아야 한다 그분을 믿는다는 것은 그분이 말씀 하신 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만일 예수님께서, 그렇지만 않았더라면 선한 그리스도인이었을 많은...

죄 없는 생애: 가능한가 아닌가?

죄 없는 생애: 가능한가 아닌가? 저자: 롸벌트 제이 윌랜드        그릇된 질문을 그릇된 시간에 묻는 것은 혼란을 야기시키게 된다. 무죄한 생애를 언급할 때마다 어떤 이는 종국적인 일대 전시적 쑈로 질문을 하게 된다: “너는 죄 없이 살고 있니? 너는 완전하니? (그리스도 외에) 완전한 어떤 사람을 나에게 보여 줄 수 있니?” 웃음은 보통 이러한 탄핵적인 질문들 뒤에 오는 긴장된 침묵으로 종지부를 찍는다....

신신학과 그리스도인 완전 문제

신신학과 그리스도인 완전 문제 저자: 콜린, 럿셀 스탠디쉬 제 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의 일각에서는 완전이라는 단어가 마치 금기 (禁忌)처럼 되어 왔다. 신신학은 이러한 불행한 상황을 조성하는 일에 기여한 바가 크다. 성경과 예언의 신이 명한대로 거룩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은 율법주의자 또는 완전주의자 라는 붉은 색 도장이 자신들의 등 뒤에 찍힐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움추리게 된다.성경을 상고해 볼 때, 우리는 완전이라는 단어가 매우 자유로히 사용되었음을 볼 수...

완전에 대항하여 펼친 사단의 공격

완전에 대항하여 펼친 사단의 공격 저자: 죠 크루스 목사그리스도인들이 죄를 거듭 지을 때에 사단이 기뻐하겠습니까? 물론입니다. 어떤 사람이 죄란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고 믿을 때 그가 죄를 지을 가능성이 더 많아집니까? 두말할 나위도 없는 사실입니다! 제 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들이 율법은 순종할 수 없다는 사단의 주장을 옹호하는 것에 무언가 특별히 위험한 것이 있습니까? 물론 그러합니다. 그 문제는 영적인 배도와 참람이 포함된 문제입니다.품성의 완전에 반박하여 전개된 이...

완전한 승리의 가르침이 중요한 이유

완전한 승리의 가르침이 중요한 이유 저자: 편집실  1 왜 완전에 대한 가르침이 중요한가?1. 완전은 늦은 비 성령을 받는 조건, 인침을 받는 조건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분이 우리로 하여금 죄를 짓지 않게 하실 수 있다는 사실을 믿는 충분한 믿음을 갖지 못한 자들은 그분께서 우리를 하나님의 나라로 들어가게 해 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갖지 못한 것이다.” RH 3/10, 1904“알고 있는 한 가지 죄를 그대로 품고 있을 때 그것은 성령의 증거하는...

완전하라는 말이 무엇이 잘못이란 말인가?

완전하라는 말이 무엇이 잘못이란 말인가? 저자:  데니스 프리비 (전 PUC 신학과 교수, 현 Amazing Facts 의 전도목사)완전이란 낱말은 오늘날 교회에서 문제를 야기시키는 단어가 된것 같다. 정말 완전이란 무엇일까? 먼저 우리가 언급해야 할 것은 완전이란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최종 결과라는 것이다. 그것은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방법도 아니요 그 기초도 아니다. 그것은 칭의와 성화의 과정의 결론인 것이다. 자, 이제 완전이란 단어부터 분석해 보기로 하자....

베이커 목사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분석

베이커 목사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분석 (예수님의 인성에 대한 베이커 목사의 오해) 저자:  랄프 랄슨 박사 편집실에서    베이커 목사는 예수님께서 마치 거듭나지 못한 인간의 타락함을 지닌 것으로 경솔하게 다루는 잘못을 범하였다. 화잇부인은 그러한 베이커 목사에게 권면의 편지를 보냈다. 오늘날 신신학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화잇부인의 편지 구절을 인용하여 마치 화잇부인이 예수님을 우리와는 전혀 다른 인성을 취하셨던 것처럼 오용하고...

인간의 본성과 신신학

인간의 본성과 신신학 저자: 콜린 스탠디쉬, 럿셀 스탠디쉬 박사 신신학은 인간의 본성에 관한 그릇된 견해 위에 세워져 있다. 참으로 이것은 우리가 신신학을 구별해 낼 수 있는 중요한 논증의 자료 가운데 하나이다. 이 문제에 대한 일곱 가지의 핵심 주제를 가지고 하나님의 말씀에 비추어 보면서 검토해 보자.1. 인간은 원죄 (original sin) 를 가지고 태어나지 않는다.원죄의 개념은 어거스틴의 기독교 사상 가운데 새겨져 있던 것이다. 그는 이교 사상으로부터 이것을...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신학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신학 저자: 콜린 스탠디쉬, 럿셀 스탠디쉬 박사 1974년 어느날, 콜린 스텐디쉬는 그의 대학장 잭 블랑코 (Jack Blanco) 박사와 함께 리뷰 앤 헤럴드의 편집장인 케넷 우드 (Kenneth Wood) 목사와 부편집장인 허버트 더글라스 (Herbert Douglass) 박사를 방문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리뷰 앤 헤럴드 의 편집인인 두 사람 모두는 그리스도의 인성 문제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 내의 신학적 논쟁의 중점이라는 것을 단호하게...

그리스도의 인성

그리스도의 인성 저자: J. R. Zurcher 목사 (프랑스의 콜롱 대학, 마다카스카르의 타나나리브, 미국 메사츄세스 주의 남 랜카스터에서 교수와 행정자로 있었으며, 스위스에 있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유로 아프리카 지회의 총무 부장과 성경 연구 학회 회장을 역임한바 있음)지금까지, 그리스도의 인성을 이해하는 것은, 아마도, 그리스도의 신성을 이해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도전으로 되어왔다. 그리스도의 인성은 기독교 시대로부터 지금까지 논쟁의 초점이 되어 왔으며,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