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Page

제 7 장 거룩한 육체 운동(1)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7 장 거룩한 육체 운동(1)   만약 그리스도론에 대하여 어떠한 조금의 의심이라도 재림교회 선구자들에게 남아있었다면, “거룩한 육체 운동”의 영향은 그들을 완전히 몰아내었을 것이다.   이 운동은 1898년과 1899년 사이에, 인디아나 합회에서 시작되었다. 목사이자 전도자였던 데이비스(S. S. Davis)에 의하여 시작된 이 운동은 삽시간에 그 합회의...

제 8 장 교회 공식 출판물로부터 발췌된 기록들(1895-1915)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3 부 교회 공식 출판물로부터 발췌된 기록들(1895-1952)   제 8 장 교회 공식 출판물로부터 발췌된 기록들(1895-1915)   지금까지 연구한 선구자들의 기사들 이외에, 안식일학교 교과와, 대총회 정기 보고서를 비롯한 교회 출판소에서 출판한 여러 종류의 책들과 같은 교회 공식 출판물들에도 재림교회 그리스도론의 입장이 정확히 나타나 있다.   이번...

제 9 장 교회 공식 출판물로부터 발췌된 기록들(1916-1952)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9 장 교회 공식 출판물로부터 발췌된 기록들(1916-1952)   1915년은 성육신에 관한 재림교회의 교리적 변화가 있었던 해는 아니다. 하지만, 이 해에 엘렌 화잇이 사망하였다. 그녀의 죽음과 함께 1844년과 관련된 선구자들 그룹의 마지막 사람이 사라지게 되었다. 엘렌 화잇은 그녀의 마지막 생애동안에도 계속적으로 경고의 기별을 울렸다: “우리는,...

제 10 장 “재림교 사상의 새로운 이정표”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4 부 재림교회 중심부에서 일어난 그리스도론적 논쟁   제 10 장 “재림교 사상의 새로운 이정표”   기독교 역사적으로, 교리적 변화는 일반적으로 천천히, 미묘하고 감지할 수 없게 일어났다. 그래서 많은 경우 변화의 근원과, 변화를 만든 사람들을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할 경우가 많다. 그러나 1950년경에 재림교회 안에서 일어났던 그리스도의 인성에 관한 교리적...

제 11 장 교리에 관한 질문들(Questions On Doctrine)에 대한 첫 번째 반응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11 장 교리에 관한 질문들(Questions On Doctrine)에 대한 첫 번째 반응   예상했던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인성에 관한 엘렌 화잇의 증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강한 반발을 일으켰다. 대담한 사람들은 공개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생각되는 해석들을 비난하였고, 다른 사람들은 조용히 교회 초기부터 가르쳐왔던 그 사상을 확고히 하였다. 교리에...

제 12 장 새로운 그리스도론에 대한 반응(1970-1979)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12 장 새로운 그리스도론에 대한 반응(1970-1979)   신신학의 영향력은 자라나고 있었다. 비록 전통적인 그리스도론의 지지자들은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하여 초기에는 조금 당황하였으나, 결국 그들은 주로 교회의 공식 매체들을 통하여 더욱 강력하게 항의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Review and Herald에 기사를 냄으로 그들의 생각을 알렸으며, 그...

제 13장 논쟁의 절정

우리 속에 오셔서 사셨던 그리스도 (우리를 체휼 하셨던 분) (Touched with Our Feelings)     제 13장 논쟁의 절정   25년 이상 그리스도의 인성에 관한 논쟁이 계속된 후 이제 얼마 동안은 논쟁이 없을 것을 예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논쟁의 절정이 1980년과 1985년 사이에 일어났다.   전통적인 그리스도론이 대중성을 얻고 있을 동안, 신신학은 그 힘을 잃고 있었으며, 그의 지지자들에게 새로운 문제점들을 찾도록 제안하고 있었다. 전에...